발품을 팔아 마음을 채우는 곳

16

며칠 비가 추적거리는 게 몸이 한없이 늘어진다. 이런 날이면 한적한 곳을 싸돌아 댕겨야, 겨우 책상머리에 앉아 할 일들을 주섬주섬 챙길 수 있다. 이따가 걷자며 곱살 진 마음을 달래는데 금세 땅거미가 어둑어둑 내려앉는다. 한적한 길로만 여기던 곳도 네온사인이 하나 둘씩 켜지면서 번화가 못지않게 오가는 이들이 많아진다. 골목 끝을 돌자마자 헌책방이라는 녹색 간판이 섰다.
퍽 오래 전에는 버스를 타다 ‘헌책방’이라는 팻말이 눈에 띄면 무작정 내리곤 했다. 그렇게 들어선 곳은 먼지 쌓인 책들만 모로 즐비한 곳도 있는가 하면 참고서를 사려는 학생들로 붐비는 곳도, 주인장은 책을 닦고 책 손 몇이 멀찍이 선 곳도 있었다.
이 녹색 간판의 책방은 어떨까 싶었다. 우산을 접어 문밖에 내려 둔다. 조금 빡빡한 미닫이문을 열고 들어서자 책 냄새가 확 덮친다. 구석 백열등이 비추는 곳에 천장까지 빼곡히 누운 책들을 보자니 안도감이 들었다. 낯선 곳에서 예기치 않게 만난 헌책방이 먼 데 있는 기억을 친다. 그때도 꼭 백열전구 아래 이런 냄새가 났다.
신촌 근방의 고등학교에 다니던 시절 사람들에게 치이는 곳보다 우산을 뱅뱅 돌려도 아무도 피해를 받지 않을 만큼 한산한 곳이 좋았다. 지금 홍대에서 신촌 방향의 길은 고작 서너 개 미술학원만 있을 뿐 오가는 이들이 거의 없었다. 그 길 한쪽께 작은 헌책방이 있었고 학교가 파하면 늘 들르는 곳이었다.
한창 입시로 바쁠 때도 친구와 책방 구석에 쭈그리고 앉아 지금도 알아들을 수 없는 책을 뒤적이곤 했다. 세로로 쓰인 글을 따라가며 모르는 한자를 서로 묻고, 큰 소리로 떠들다 핀잔을 듣기도 했다. 책방 아저씨가 문을 닫는다고 말해야 엉덩이를 털고 일어났다. 우리는 일부러 먼 길을 돌아가곤 했다. 읽은 책에 대해 이것저것 갖다 붙이는 통에 이바구가 끊이질 않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몇 해지나 연애를 시작했을 때도 파트너와 주로 ‘헌책방’에서 만났다. 왜 그랬는지는 모르지만 낡은 책 냄새는 상대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줬고, 좁은 공간은 서로에게 집중하며 작은 목소리로도 대화를 이어갈 수 있었다. 나는 상대의 말을 터치해 가면서 잘 이어갈 줄 몰랐고, 어느 즘에 찾아온 정적을 어쩔 줄 몰라 하며 상대가 무슨 말이든 하길 기다리는 처지였다. 그런 내가 끊이지 않게 말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은 ‘책’과, ‘그 주변의 이야기’들이었다.
무엇보다 읽은 책들 중 밑줄 그었던 부분을 기억해 책을 고르고 상대에게 선물을 하는 것은 큰 즐거움이었다. 나만큼 그도 기뻐하고 그만큼의 감동으로 벅찰 것이라고 혼자만 믿곤 했다. 아주 나중에 그는 헌책방에서 만나는 게 달갑지 않으며, 책보다 하다못해 천 원짜리 핀이 더 감동적이라고 전했다.
헌책방을 순례하듯 다니던 시절, 인천의 한 헌책방의 주인장이 ‘헌책방이 뭐 같아요?’라고 물었다. 자주 들락거리며 낯이 익자 건 낸 말이지만 좀처럼 가늠할 수 없기도 했다. ‘멀리서 오는 거죠?’라고 되묻고는 ‘헌책방은 발품을 팔아 마음을 채우는 곳’이라고 말했다.
한 무대기 책을 산 날이면 어서 집에 들어가고 싶은 생각뿐이었다. 책을 걸레로 닦고는 침대 옆에 두고 표지부터 찬찬히 살핀다. 저자 서문만 읽고 자자며 몇 장 들추다가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하며 날을 지새운 날도 밤이 짧은 것이 내내 아쉬웠다. 낡은 책 한 귀퉁이에 이전 주인의 부스러질 것 같은 메모에 밑줄을 보탠 날은 그를 상상해 보기도 했다.
그 모든 ‘우연’이 주는 갈래를 헤매는 건, 흡사 시작과 끝이 닿아 끝나지 않는 산책과 같았다. 그 몽상의 시간 동안에 나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했고, 숨소리만 가빴을 것이다. 책 읽기가 뭔가 대단한 것을 머리에 꾸역꾸역 넣자는 게 아니라, 위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그것으로 족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게 허기진 마음이 채워지는 거지 싶었다.


카테고리 Ennui
현재 3 /// 전체 3Ennui 목록

출판사 – 컬리지언총서를펴내면서

15

헌책방에서 만난 출판사의 수를 헤아릴 수 있을까. 아직 동네서점 한 귀퉁이나 인터넷, 대형서점에서 언제나 만날 수 있는 출판사부터 생전 듣도 보도 못한 재미난 출판사까지. 책을 읽는 이들 나름대로 자신에게 특별한 출판사가 있을 텐데, 책의 내용을 떠나서 출판사가 책 구석에 슬쩍 적어놓은 글만으로도 정이 가는 경우가 종종 있고 그걸 찾아 읽는 맛도 쏠쏠하다.
[새와물고기]는 헌책방의 끝간데없는 베스트셀러일 것이다. 물론 시집이나, 유머집 같은 다소 엉뚱한 걸 낸 적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외국문학 선이다. 보네거트와 코진스키, 마가랫 애트우드를 만날 수 있는 출판사였으니 말이다.
보네거트의 『저 위의 누군가가 날 좋아하나봐』의 첫 장 “새와 물고기는 힘들면 다시 보이는 요지경입니다”를 시작으로, 『고양이 요람』에서는 “새와 물고기는 전자파의 세상에 생긴 아주 작은 대피소입니다”, 『죽음과 추는 억지춤 또는 어린아이들의 십자군 전쟁』에서는 “새와 물고기는 둥근 것, 굽은 것, 물렁물렁한 것입니다”라는 짧은 글귀 들이 소설에 대한 기대를 더욱 부풀린다.
코진스키의 『거꾸로 선 나무 – The Devil Tree』의 “새와물고기는 가장 처음에 있었던 것들에 대한 그리움입니다.”와 『눈먼 데이트』에서 “새와물고기는 세계로 향한 독자의 창입니다”는 조금 식상한 감이 있지만, 마가랫 애트우드의 『케잌을 굽는 여자 – The Edible woman』는 그 진부함을 뒤엎기에 충분하다. 갓 구워낸 케이크가 풍기는 신선함. “새와물고기는 이 세상에서 없어진 새들과 물고기들에게 심심한 조의를 표합니다.” 지금은 없어진 [새와물고기]에 심심한 조의를 표할 따름이다. 참고로 보네거트는 모조리 절판되는 불운을 딛고 얼마 전부터 ‘금문’에서 새로운 역자를 만나 재출간 되고 있다. 나로선 좋은 소설이니 환영이지만 왜 그렇게 비싼 건지. : (
[프로젝트 409]출판사는 장석남의 『별의 감옥』이라는 시선을 낸 적이 있다. 『새떼들에게로의 망명』에 수록된 시와 별 차이는 없지만, 특이한 것은 매 페이지 요코(Yoko)의 삽화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빨간색 양장의 표지에 별의 감옥이라고 스티커를 붙여 놓은 것이 여간 촌스러운 것이 아니지만, 장석남의 시는 표지에 대한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반역이다. 의아한 것은 발행인이 이광호인 것인데(언제 출판까지 손을 뻗쳤단 말인가? 물론 더는 없으니 망한 거겠지? 😐 ), 그보다 더 재미난 것은 책의 맨 마지막의 카피다. “개와 JAZZ를 사랑하는,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을 추구하는 그룹-409!” 엽기 내지는 컬트랄 밖에.
[동문선]‘ 성종 때, 서거정이 편찬한 명문 선집(選集)’이라는 생각보다, ‘내 취향에 ‘딱’인 책들이 무더기로 쏟아지는 출판사‘라고 말하는 이들이 훨씬 많을 것이다. 혹자는 출판사 이름을 불문선으로 바꿔야 하지 않느냐고 농을 던지기도 하는데 여하튼 양서를 끊이지 않고 찍어내는 출판사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언제부터인지 동문선이 가진 판권의 화려함과는 정반대로 번역의 질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처음엔 짜증스럽던 것이 이제는 무서워지려고 한다. 과연 편집자가 있기는 있는 것인지.
오래전 동문선의 책을 샀을 때, 그 안에 덤으로 들어 있던 도서목록 같은 게 있었다. 책과 출판문화에 대한 여러 얘기가 있었는데, 그중 상당히 인상적이었던 것이 ‘백과사전을 찢자’는 글귀였다. 대강의 요지가 찬장에 백과사전 꽂아두지 말고, 유용하게 쓰자는 말이었는데 그 마지막 부분은 아직도 선명하다. “때 묻고 찢어지고 구겨지고 너덜너덜해진 백과사전 한 번 구경해 봤으면 좋겠다” 달리 무슨 말이 필요할까? 바라 건데 처음의 반만이라도 닮아라. 책값도 따라서 닮으면 좋고 : ) 
[까치], 방안의 책장을 쭈욱 둘러보면 여기저기 분야별로 몇 권씩 꽂혀있다. 가장 이쁜 장정을 한 책은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1, 2, 3』2쇄 이다. 1권은 노란색, 2권은 밝은 갈색, 3권은 파란색. 1쇄 때의 그 밋밋한 하얀색 표지에 색을 입히니 책꽂이에서 유달리 빛난다. 누가 까치 책이라고 생각하겠는가. 까치도 이제는 시류(?)를 쫓아 『아르센 뤼팽』 전집 이후에는 표지가 알록달록해지고 있지만. [새물결]의 출판사 카피가 “長江의 앞 물결이 뒷물결을 밀어낸다”라면 모든 [까치]책에 그들만의 정체성을 당당히 밝히는 카피! “값/뒤표지에 쓰여 있음”
[이후] 얘기를 하고 싶었을 게다. 헌책방보다는 큰 대형서점에 더 많이 꽂혀있는, 그보다는 학교 앞 작은 사회과학 서점 한 칸이 더 잘 어울리는 책들. 99년 여름이었나 보다 [공덕동/굴다리서점]에서 『신좌파의 상상력』을 샀다. 다 읽어낼 자신이 퍼뜩 들지 않았음에도 몇 장을 넘기다 책을 덮고 큰 숨을 들이쉰 것은 “컬리지언 총서를 펴내면서”라는 짧은 글을 읽으면서였다. 기형도의 ‘대학시절’로 시작되고 있었다. (내 군대 이등병 시절, 화장실벽 틈에 숨겨두고 틈틈이 보던 게 기형도의 수화였다.) “나무 의자 밑에는 버려진 책들이 가득하였다 은백양의 숲은 깊고 아름다웠지만 그곳에서는 나뭇잎조차 무기로 사용되었다 그 아름다운 숲에 이르면 청년들은 각오한 듯 눈을 감고 지나갔다, ….” 그러다 난데없이 다른 시가 머리를 쳤다. (그 이등병 시절, 막 울음이 났던) “..나는 침묵이 두렵다 침묵은 그러나 얼마나 믿음직한 수표인가..”그러다가 [이후]의 글이 다시 눈에 들어왔다. “당신은 청년입니까? 들어본 지 오래된 말이라구요. 저도 불러본 지 오랜만입니다. 저희는 당신을 앞으로 그렇게 부르겠습니다. 쑥스럽다구요? 아닙니다….” 나는 듣고 싶었다. ‘톱밥같이 쓸쓸해’ 보인다 해도 듣고 싶었고, 그날로 책을 다 읽어냈다.
한 권의 책을 통틀은 것보다 단 몇 줄로 더 큰 공명이 일 때가 있다. 이후가 이후에도 나날이 번창하기를 !
to be continued
2000-02-02 05:38:43 posted by antimine.


카테고리 Ennui
현재 3 /// 전체 3Ennui 목록